함수(2)
-
[Javascript] 함수의 기본 파라미터
이번 글에서는 함수의 기본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려 한다.한 번 우리가 원의 넓이를 구하는 함수를 만들어 본다고 가정해 보자. function calculateCircleArea(r) { return Math.PI * r * r;}const area = calculateCircleArea(4);console.log(area); // 50.26548245743669 여기서 Math.PI는 원주율 파이(π)의 값을 가리킨다. 그런데 여기서 만약 우리가 이 함수에 r이라는 인자 값을 넘겨주지 않는다면 어떤 결과가 나타날까? function calculateCircleArea(r) { return Math.PI * r * r;}const area = calculateCircleArea();c..
2025.05.21 -
[Javascript] Arrow Function(화살표 함수)
Arrow Funcrtion의 특징 자바에서의 람다와 유사한 문법 es6문법 중 가장 많이 쓰이는 문법으로 코드의 가독성을 높여줌 this에 대해서 다른 범위 스코프를 가지고 있어 기존의 함수에서의 this의 불편함을 근본적 해결 return 키워드 생략 가능 일반 함수 문법 function add(var1, var2) { return var1 + var2; } 화살표 함수 문법 //리턴 키워드 생략 가능 const addArrowFunction = (var1, var2) => var1 + var2 console.log(addArrowFunction(1, 2)); 기존 함수에서의 this 사용 일반함수의 경우 this로 받게 된다면 해당하는 범위가 prototype의 this가 아닌 function 내부..
2020.09.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