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 boot
-
[Spring Boot] Path Variable - 가변 URI 사용Java/Spring 2024. 9. 19. 09:00
이번에는 우리가 정의한 URI 값을 변경할 수 있도록, 즉 변수를 사용하여 Endpoint를 활용해 보도록 하겠음. API의 URI를 클라이언트에서 활용할 때에는 정의된 형태로만 호출해야 함. API는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이고 Interface는 곧 약속이므로 이 API를 제공하는 사람이 정의해 놓은 방식대로 사용해야 한다는 것. 정의되지 않은 URI를 호출하면 HTTP Status Code 중에서 Page Not Found(또는 Not Found) 에러를 반환하고 정의되지 않은 메서드를 호출하면 Method Not Allowed를 받게 됨. 이처럼 고정된 API만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만약 URI에 가변적인 데이터를 추가해 사용할 수 있다편 편리할 것임. 그렇다면..
-
[Spring Boot] DispatcherServlet과 프로젝트 동작의 이해Java/Spring 2024. 9. 12. 09:00
Spring Boot의 작동 원리에 대해 간략하게 정리하고 넘어가도록 하자. Spring Boot의 설정 내용들은 Java 클래스를 이용해 처리할 수도 있음. 그러나 resources 폴더 내에 저장되어 있는 파일들 중 application.yml 또는 application.properties라는 파일이 Spring Boot에서 필요한 설정들을 담당함. .properties 확장자 파일을 사용한다면 =로 구분된 설정 이름과 값을 지정할 수 있고(설정 이름 = 값) .yml(또는 yaml) 파일을 사용하면 설정 이름과 값을 :으로 구분해 저장할 수 있음(설정 이름: 값). .yml(또는 .yaml) 파일을 사용하면 계층 구조로 구분할 수 있기 때문에 같은 이름으로 grouping이 되어 있는 경우 훨씬 더..
-
[Spring Boot] Hello World BeanJava/Spring 2024. 9. 11. 09:00
지난 시간에 우리는 Spring Boot 프로젝트의 첫 번째 클래스로서 HelloWorldController를 만들고 "Hello World!"라는 문자열을 반환하는 API를 만듦. https://developing-move.tistory.com/241 이제 우리가 개발할 두 번째 API는 단순히 문자열을 반환하는 것이 아니라 Bean을 반환시켜 주는 method를 만들 것. 반환할 Bean의 이름은 HelloWorldBean이라고 지정할 것이며 Java Bean 클래스 또한 작성하려 함. 우리는 현재의 Spring Boot 프로젝트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Lombok이라는 라이브러리를 추가함. Lombok을 추가하면 만들고자 하는 클래스에 대해 어떠한 property를 등록했을 때 getter(), ..
-
[Spring Boot] HelloWorld ControllerJava/Spring 2024. 9. 2. 09:00
이전에 생성한 Spring Boot 프로젝트에 첫 번째 클래스를 생성해 보겠음. @RestController public class HelloWorldController{ // GET // URI: /hello-world // @RequestMapping(method=RequestMethod.GET, path="/hello-world") } HelloWorldController라는 이름의 클래스를 생성함. 먼저 이 클래스가 Spring Context에 등록되게 하기 위해서 우리는 @RestController라는 어노테이션을 사용할 것임. cf) @RestController와 @Controller의 차이는 다음 글에서 알아볼 예정이다. 일단은 우리가 만들고자 하는 RESTful 서비스에서는 화면단을 가지고..
-
[Spring Boot] Spring Boot 개요Java/Spring 2024. 8. 26. 09:00
Spring Boot는 Spring으로 작성된 단독 실행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기 위한 플랫폼. 간단하게 개발 및 실행이 가능하고 상용화 가능한 수준의 스프링 기반 애플리케이션을 쉽게 만들어낼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짐. 기본적으로 Spring Framework를 이용한 애플리케이션 개발에는 많은 설정 작업들이 필요한데 Spring Boot를 이용하면 최소한의 설정만으로 Spring의 플랫폼과 서드파티(Third Party), 라이브러리 등을 사용할 수 있게 됨. spring.io에서는 Spring Boot에 대해 아래와 같이 설명함.Spring 기반의 '단독 실행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을 간단하게 생성할 수 있고, 대부분의 Spring Boot 애플리케이션은 최소한의 설정 작업만으로도 바로 실행할 수..
-
[Spring Boot] Spring Boot를 이용한 RESTful Web Services 개발 - 개요Java/Spring 2024. 8. 20. 09:00
본 포스트는 인프런 이도원 강사님의 "Spring Boot 3.x 를 이용한 RESTful Web Services 개발" 강의를 통해 직접 작성 및 정리한 글입니다. 이 강의는 Spring Boot를 이용하여 간단한 RESTful API를 개발해 보고, 나아가 Spring Cloud를 이용한 MSA 개발과도 연계되는 과정임. 2011년 베니스에서 개최된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워크숍 이후 Micro Service라는 용어를 사용하기 시작함.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함에 있어서 전통적인 모놀리식 개발 방법이 아닌 Micro Service라는 개발 방법을 도입함으로써 개발뿐 아니라 유지보수에 있어서도 비용 절감, 효율성, 고객의 요구사항에 빠르게 대처할 수 있는 효과를 얻게 됨. 또한 이러한 Micro 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