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6(4)
-
[Javascript] ECMAScript 2015(ES6)+ (2)
구조분해할당(Destructuring) 자바스크립트 개발을 하다 보면 객체를 함수끼리 주고 받는 상황이 아주 많다. 그로 인해 전달 받은 객체의 프로퍼티를 변수로 선언하려면 각 프로퍼티를 별도의 변수로 할당하기 위해 각 프로퍼티마다 독립된 할당문을 작성해야 했다. 하지만 구조분해할당이라고 불리는 문법이 추가되어 변수 선언이 훨씬 더 편리해졌고 코드가 간결해졌다. 변수 선언 먼저 변수의 프로퍼티를 쉽게 선언하는 예제이다. 객체의 구조분해할당은 변수로 선언하고자 하는 객체의 프로퍼티명을 { } 안에 나열하면 각 프로퍼티의 이름으로 변수가 생성되고 프로퍼티의 값이 자동으로 할당된다. 배열의 구조분해할당 또한 비슷한데 [ ] 안에 나열하는 변수의 이름에 맞는 인덱스의 요소가 변수의 값으로 할당된다. ES5fu..
2025.05.20 -
[Javascript] ECMAScript 2015(ES6)+ (1)
ECMAScript(ES6나 ES2015의 ES는 ECMAScript의 줄임말)는 Ecma 인터내셔널에서 정의한 ECMA-262 기술 규격에 정의된 표준 스크립트 프로그래밍 언어다. ECMAScript는 1997년 1판 배포 이후로 매년 2, 3판이 배포되었고 그 뒤 10년 뒤에 5판(ECMAScript 5. 이하 ES5), 다시 6년 뒤인 2015년에 6판(ECMA2015)이 배포되었다(4판은 버려짐). 6판의 정식 명칭은 ECMAScript 6이 아닌 ECMAScript 2015(이하 ES6)이다. 이전에는 배포 주기가 길었지만 빠르게 변화하는 개발 환경을 반영하여 숫자 대신 연도를 붙여 배포되는 추세이다. ES6에서는 ES5 이하 명서에서 문제가 되었던 부분들이 해결되었고, 기존 코드를 더 간결하게..
2025.05.19 -
[Javascript] 변수와 상수
변수 : let 키워드 이용하여 선언 상수 : const 키워드 이용하여 선언 ** var 키워드는 권장하지 않는다 ** 주요 차이점으로 var는 똑같은 이름으로 여러 번 사용할 수 있다. let과 사용하는 범위가 다른데 이것은 나중에 별도로 정리할 예정이다. 아래는 let 과 var의 차이에 대한 예시다. let a = 1; if (a + 1 === 2) { let a = 2; console.log("if문 안의 a 값은 " + a); } console.log("if문 밖의 a 값은 " + a); var a = 1; if (a + 1 === 2) { var a = 2; console.log("if문 안의 a 값은 " + a); } console.log("if문 밖의 a 값은 " + a); let과 co..
2020.08.14 -
[Javascript] 비구조화 할당(객체 구조 분해)
function hello(name) {console.log('Hello' + name);}hello('monkey');결과 : Hello monkey! 위와 같은 방식을 es6 이상부터는 아래와 같은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function hello(name) {console.log(`Hello ${name}!`);}hello('monkey');결과 : Hello monkey! 다른 예시const ironMan = { name: '토니 스타크', actor: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 alias: '아이언맨'};const captainAmerica = { name: '스티븐 로저스', actor: '크리스 에반스', alias: '캡틴 아메리카'};function print(hero) {..
2020.08.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