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10)
-
[WEB] 웹 접근성(Web Accessibility)
웹 접근성이란 장애를 가진 사람들도 신체적 또는 환경적 조건에 관계없이 인터넷을 통해 정보에 접근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이는 인터넷을 더욱 공평하고 인종이나 성별, 연령, 장애 유무와 상관없이 모두가 이용할 수 있는 공간으로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한다. 예를 들어 시각 장애인의 경우 화면을 눈으로 볼 수 없으므로 스크린 리더라는 별도의 소프트웨어를 PC에 설치하여 음성으로 웹 페이지에 담긴 정보를 이해한다. 하지만 스크린 리더가 스스로 웹 페이지의 내용을 분석하지는 못한다. 만약 로그인 페이의 경우 해당 페이지의 디자인을 '로그인'이라는 텍스트 대신 로그인 이미지를 사용할 경우 스크린 리더는 이를 인식하지 못해 시각 장애인이 홈페이지를 이용할 수 없게 되는 차별이 일어난다. 따라서 이미..
2024.10.07 -
[WEB] 웹 표준(Web Standards)
웹 표준이란 웹에서 사용되는 기술들의 표준화를 의미한다. 즉 웹 사이트를 구성하는 HTML, CSS, Javascript 등의 언어들이 표준화된 방식으로 작성되어야 한다는 것. 쉽게 말하면 사용자가 어떤 브라우저나 기기를 사용하더라도 웹 페이지 화면을 동일하게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로 웹 표준인 것이다. 웹 표준의 장점웹 페이지를 작성할 때 웹 표준을 준수하면 아래와 같은 효과를 누릴 수 있게 된다. 1. 웹 페이지의 호환성웹 표준을 준수하면 웹 페이지가 모든 브라우저에서 일관되게 표시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들은 어떤 브라우저를 사용하더라도 동일한 사용자 경험을 얻을 수 있어 오래된 브라우저에서도 컨텐츠가 적절하게 표시되고 호환성과 운용성이 확보된다. 2. 검색 엔진 최적화(SEO)웹 표준을 ..
2024.10.04 -
[WEB] HTTP란? HTTP의 기본 개념 이해하기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란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서로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해 사용되는 통신 규약이다. 웹 문서 간에 링크를 통해 연결할 수 있는 프로토콜이며, 문서뿐 아니라 HTML이나 TEXT, 이미지, 음성, 영상, 파일, JSON, XML(API) 등 여러 종류의 데이터들을 폭 넓게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서버 간에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대부분 HTTP라는 프로토콜을 사용해 통신한다고 봐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인터넷 주소를 지정할 때 http://www.naver.com와 같이 시작하는 것은 www.naver.com이라는 인터넷 주소가 가진 데이터 정보 등의 교환을 HTTP의 통신 규약대로 처리하라는 것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cf) 인터넷 기반 서비스..
2024.10.02 -
[WEB] 브라우저 렌더링 과정 바로 알기
브라우저 렌더링의 원리 주소창에 https://www.google.com/을 입력하면 브라우저에서는 무슨 일이 일어날까? 브라우저가 웹 페이지를 불러올 때는 렌더링 엔진이라는 소프트웨어 모듈이 사용된다. 렌더링 엔진은 HTML, CSS, Javascript와 같은 웹 페이지 요소들을 파싱하고 이를 브라우저 화면에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브라우저 렌더링 동작 과정 렌더링의 기본적인 동작 과정은 다음과 같다. 1. HTML 파일과 CSS 파일을 파싱해서 각각 Tree를 만든다(Parsing)2. 두 Tree를 결합하여 Rendering Tree를 만든다(Style) 3. Rendering Tree에서 각 노드의 위치와 크기를 계산한다(Layout) 4. 계산된 값을 이용해 각 노드를 화면상의 실제 픽셀로..
2024.08.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