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312)
-
[Node] npx란?
npm과의 차이점 npm은 컴퓨터, 혹은 서버에 실제로 모듈을 설치를 하여 실행하는 방식 npx는 실제로 설치하지 않고 일회성으로 사용하는 것이 목적 npx를 사용하는 이유가 궁금하시면 아래 블로그 링크에서 확인해 보세요. 정리가 잘 되어 있습니다. geonlee.tistory.com/32 [npm] 🤔npx란 무엇인가? 🤔 npx란 무엇인가? 우리가 리액트를 처음 시작할 때, 프로젝트를 만드는 패키지인 create-react-app 이 있습니다. npx create-react-app my-app 여기서는 왜 npm이 아닌 npx를 사용하고 npx란 무엇일까요? 👨� geonlee.tistory.com npx 테스트를 위해 cowsay를 사용합니다. cowsay는 일종의 개발자들의 재미를 위한 툴로 n..
2020.09.23 -
[Node] node Semantic Versioning
node Semantic Versioning 이란? npm에서 채택하는 버전 관리 시스템으로 오픈소스에서 좀 더 체계적으로 버전을 관리하는 방법 https://docs.npmjs.com/about-semantic-versioning About semantic versioning | npm Documentation To keep the JavaScript ecosystem healthy, reliable, and secure, every time you make significant updates to an npm package you own, we recommend publishing a new version of the package with an updated version number in the ..
2020.09.23 -
[Javascript] Static Method
Static Method 특징 클래스의 constructor(생성자)에 접근하지 않고 바로 static method를 실행하기 때문에 클래스를 생성하지 않고 클래스 내부에 바로 접근하여 실행 가능하다. static method만 있는 클래스인 경우엔 constructor 생략이 가능하다 static method에서는 constructor(생성자)에 선언된 변수, 객체 등 어떤 자료도 접근할 수 없다 예시 소스 // static method를 호출할 클래스 선언 class test { // constructor() { // this.config = {} // } static call() { console.log('static method'); } } // const Test = new test();로 생성..
2020.09.23 -
[Javascript] Class, Class Extends
class 특징 파일을 로드할 때마다가 아닌 한 번만 읽고자 할 때 보통 환경 변수 파일에서 많이 사용함 많은 요청이 와도 클래스는 단 한 번만 생성될 수 있다 클래스 생성 예시 class Robot { //생성자, 파라미터로 초기값을 받음 constructor(name) { this.name = name } speak() { console.log(`${this.name}`); } } const r = new Robot('My name is Mr.Robot'); r.speak(); class extend (클래스 확장) extend 사용하여 클래스를 확장 super() 키워드를 통해 상위 클래스의 생성자를 호출할 수 있다. class Ai extends Robot { constructor(name) { ..
2020.09.23 -
[Javascript] Arrow Function(화살표 함수)
Arrow Funcrtion의 특징 자바에서의 람다와 유사한 문법 es6문법 중 가장 많이 쓰이는 문법으로 코드의 가독성을 높여줌 this에 대해서 다른 범위 스코프를 가지고 있어 기존의 함수에서의 this의 불편함을 근본적 해결 return 키워드 생략 가능 일반 함수 문법 function add(var1, var2) { return var1 + var2; } 화살표 함수 문법 //리턴 키워드 생략 가능 const addArrowFunction = (var1, var2) => var1 + var2 console.log(addArrowFunction(1, 2)); 기존 함수에서의 this 사용 일반함수의 경우 this로 받게 된다면 해당하는 범위가 prototype의 this가 아닌 function 내부..
2020.09.22 -
[Javascript] 즉시 실행 함수 표현(IIFE)
IIFE란 정의 되자마자 즉시 실행되는 자바스크립트 함수를 말한다. 선언 형식은 괄호 안에 익명함수를 작성한다. 이렇게 선언한 함수는 전역 스코프에 불필요한 변수를 추가하여 오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다른 변수들이 접근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선언부 자바스크립트 엔진은 맨 마지막의 ()를 통해 해당 함수를 즉시 해석하여 실행한다. 예시 소스(외부에서 내부의 변수에 접근하지 못해 에러 발생) (function () { // 외부로부터 접근이 불가능한 변수 var lang = 'js'; })(); // 오류발생 ReferenceError: lang is not defined // 내부의 lang을 외부에서 접근할 수 없기 때문에 // console.log(lang); 즉시 실행 함수를 변수에 할당하면 ..
2020.09.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