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312)
-
[Javascript] Every
every는 ES6부터 지원하는 문법으로 특정 배열이 어떤 조건에 대해서 모두 만족하는 지를 체크한다. every는 다양한 용도로 활용이 가능한데 백엔드 뿐만 아니라 프론트엔드에서도 페이지 랜더링을 할 때 설정한 모든 조건이 만족하는 것을 체크하는 것 등에 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UI 페이지를 만들었을 때 회원 가입디 외어있고, 로그인을 했고 회원이 추천코드를 받았을 때만 보여주는 화면을 만든다고 하면 여러번의 if문 처리가 필요하다. 이럴 때 every를 쓰면 간단하게 표현할 수 있다. 예시 소스 'use strict' // 1보다 큰 수만 모아 놓은 배열 생성 const arr = [2, 3, 4]; const isBiggetThanOne = arr.every(key => key > 1); con..
2020.09.21 -
[CSS] position: absolute
▶ position: absolute; - 부모 요소를 기준으로 배치. - 여기서의 부모요소는 기본적인 HTML의 구조적인 부모가 아닌 위치상의 부모 요소를 의미. - position: absolute; 지정 시 3번 박스는 사라짐. - 이때 3번 박스는 2번 박스 뒤에 숨어 있는 것. - position: absolute;가 부여된 2번 박스는 부모 요소를 기준으로 배치될 준비를 끝냄. - 1, 2, 3 순서로 쌓이는 개념이 존재하지 않고 1, 3번 박스에 대한 상관관계를 무시. - 2번 박스 공중으로 붕 뜬 상태와 같이 되고 3번 박스는 밀려서 1번 박스 아래에 위치하게 된 것. - 3번 박스의 크기를 늘릴 경우 2번 박스 뒤편에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음. - position: absolute;에 ..
2020.09.20 -
[CSS] position: relative
▶ position: relative; - 자기 자신을 배치 기준으로 삼음. - position: relative;만 입력 시 자신을 기준으로 배치될 준비만 하는 것. - top/left/right/bottom의 속성을 입력해 줘야 이동함. - 자신이 있었던 위치에서 위에서 20px, 왼쪽에서 150px 이동. - 3번 박스는 원래 있던 그 위치 그대로 있음. - 2번 박스의 경우 원래 위치 그대로 남아 있는 것이고 화면상에 보이는 2번 박스는 일종의 홀로그램. - 이때 1번 박스를 지우면 위로 올라감. - 2번 박스는 1번의 영향을 받고, 3번에 영향을 주는 형국. - relative로 위치를 잡으면 자신을 기준으로 하다 보니, 주변 형제 요소의 영향을 주거나 받기 때문에 이에 유의하여 사용해야 함.
2020.09.20 -
[CSS] position
▶ position - 요소의 위치 지정 방법의 유형/기준을 지정. - 요소를 특정 위치에 배치하기 위해서는 기준이 필요함. - 이때 position을 통해 직접 배치하는 것은 아니고 기준을 설정하는 것. [속성 값] - static: 유형(기준) 없음. 배치 불가능. 기본값. - 모든 요소는 배치할 준비가 안 되어 있는 상태. - 배치를 위해서는 아래의 값들을 사용해야 함. - relative: 요소 자신을 기준으로 배치. - absolute: 위치상 부모 요소를 기준으로 배치. - fixed: 브라우저(뷰포트)를 기준으로 배치. - sticky: 스크롤 영역 기준으로 배치. - position: absolute; 사용. - 부모 요소를 기준으로 배치됨. - 이때 부모 요소인 .parent에는 posi..
2020.09.20 -
[CSS] clear
▶ clear - float 속성이 적용되지 않도록 지정. - float 속성의 해제. - float이 주변에 더 이상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처리하는 것. [속성 값] - none: 기본값. 요소 띄움 허용. - left: 왼쪽 띄움 해제. - right: 오른쪽 띄움 해제. - both: 양쪽 모두 띄움 해제.
2020.09.20 -
[CSS] float의 display 수정
▶ CSS float 참조: developing-move.tistory.com/123 - float 속성이 추가된 요소는 display 속성의 값이 대부분의 경우 block으로 수정됨. - 의 전형적인 inline 속성. - 에 display: block; 적용 시 결과 화면. - float: left; 사용. - display: block;과 마찬가지로 요소의 가로/세로 크기를 가질 수 있게 되고 margin이 적용됨. - 대부분의 경우 display 속성의 값이 변경되는 것으로 그렇지 않은 값들도 있음. 지정 값 변화 값 inline block inline-block block inline-table block table-row block table-row-group block table-column..
2020.09.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