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script(175)
-
[node] 내보내기와 불러오기
지난번 게시물 hello node! 출력 하기의 활용이다. 이번 예시에서는 내보내기 파일과 불러오는 파일을 별도로 구분했다. 해당 예시에서는 내보낼 땐 Module.exports 변수를, 불러올 땐 require 파일명을 사용하였다. 먼저 내보내기 파일 생성 hello.js를 만들었을 때와 동일하게 myvar.js라는 파일을 생성한 후 module.exports.a = "hello a"; 작성 이후 불러올 파일(사용할 파일)인 index.js 파일 생성 생성한 파일에 myvar 파일의 경로 작성 및 console.log()로 출력할 메시지 입력. cmd 창에서 index.js를 실행한다. 같은 방식으로 함수도 내보낼 수 있다. 다시 myvar.js 파일로 돌아가 내용을 아래 이미지처럼 수정 index.j..
2020.08.21 -
[node] 'hello node!' 출력하기
node 명령어를 통한 hello.js 실행 새 폴더를 생성하여 vscode에 드래그 앤 드랍한다. 이 때 생성산 새 폴더의 경로를 기억해 두는 것이 좋다. (CMD 명령어 입력 시 폴더의 경로를 알아야 함) 예시에서는 폴더명을 exercise라고 만들었다. 마우스 우클릭하여 새 파일을 생성한다. 파일 명은 hello.js로 생성했다. 생성한 hello.js 파일에 console.log("hello node!")라고 코딩한다. 윈도우 기준 cmd 창을 열어 새로 생성한 폴더(exercise)로 이동 및 hello.js를 실행한다. 이동 : cd 해당폴더 경로 실행 : node hello.js(실행할 js 파일명) hello.js 실행 시 hello node!가 뜨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출처 : 본 포..
2020.08.20 -
node 설치 및 에디터(vscode) 설치
구글에 node download를 검색하여 다운로드 링크로 이동하거나 해당 URL 접속 https://nodejs.org/ko/download/ 다운로드 | Node.js Node.js® is a JavaScript runtime built on Chrome's V8 JavaScript engine. nodejs.org 다운로드가 완료되면 install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별도의 설정 없이 next 버튼만 누르면 설치가 완료된다. 설치 완료 후 정상적으로 설치가 되었는지 확인 windowOS 기준으로 cmd창을 열어 node -v, npm -v를 각각 입력하여 아래 이미지와 같이 출력되면 정상 설치 완료 다음으로 vscode 설치 및 기본 세팅 방법이다. 구글에 vscode download 검색 하여 링..
2020.08.20 -
[Javascript] 동기/비동기 처리와 callback
동기와 비동기를 나누는 가장 큰 차이는 어떻게 실행 순서를 가지느냐에 있다. 아래 이미지와 같이 동기(Synchronous)는 요청을 보낸 후 해당 요청의 응답을 받아야 다음 동작을 실행하는 방식을, 비동기( Asynchronous)는 요청을 보낸 후 응답과 관계 없이 다음 동작을 실행할 수 있는 방식을 의미한다. 아래와 같이 일반적으로 함수를 작성하여 호출하면 동기적으로 실행된다.function work() { const start = Date.now(); for (let i = 0; i 위 결과와 같이 함수 로직이 끝난 후에야 '다음 작업'이라는 문구가 호출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리고 이를 비동기적으로 전환하려고 한다면 setTimeout을 사용하여 아래와 같이 변경할 수 있다.func..
2020.08.19 -
[Javascript] 단축 평가(short-circuit evaluation) 논리 계산법
이번에는 논리 연산자를 좀 더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포스팅해 보려 한다.단축 평가 논리 계산법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은 논리 연산자의 특징에 대해 잘 숙지하고 있어야 한다.true && true // truetrue && false // falsetrue || false // truefalse || true // true 논리 연산자를 사용할 때 무조건 true/false 값을 사용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문자열이나 숫자, 객체를 사용할 수도 있고 해당 값이 Truthy하냐 Falsy하냐에 따라 결과가 달라진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코드가 있다고 가정해 보자.const dog = { name: '멍멍이'};function getName(animal) { return ani..
2020.08.19 -
[Javascript] Truthy와 Falsy
Truthy와 Falsy는 자바스크립트 문법까지는 아니지만 알아둬야 하는 개념이다.Truthy란 true 같은 거, Falsy란 false 같은 거... 정도로 이해를 하면 되긴 하는데 빠른 이해를 위해 일단은 다음과 같은 함수가 있다고 가정해 보자.function print(person) { console.log(person.name);}const person = { name: 'John'};print(person); 그리고 만약 이런 상황에서 print() 함수가 아래와 같이 파라미터가 비어 있는 채로 실행되었다고 생각해 보자.function print(person) { console.log(person.name);}const person = { name: 'John'};print(); 위 ..
2020.08.19